1. innerText
- 해당 요소 내에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텍스트 값
- display: none 으로 정의된 숨겨진 텍스트는 가져오지 않는다.
- 사용자가 브라우저에서 ctrl + c 해서 클립보드에 복사한 내용을 가져오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 innerText의 CSS 고려로 인해, innerText 값을 읽으면 최신 계산값을 반영하기 위해 리플로우가 발생한다.
2. textContent
- Node의 속성
- innerText와 달리 <script>나 <style> 태그와 상관없이 해당 노드가 가지고 있는 텍스트 값을 그대로 읽는다.
- textContent로 가져온 것은 모두 string 이다.
- HTML로 분석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innerHTML보다 textContent의 성능이 더 좋다.
- 세 가지 중에 권장하는 속성이다.
3. innerHTML
- 요소 내에 포함된 HTML 또는 XML 마크업을 가져오거나 설정
- 현재 내용으로 기반으로 생성, 반환된 마크업이 본래의 마크업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 xss 공격 등 보안에 취약하다.
'배워서 남 주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자인 패턴 - Singleton 패턴 (0) | 2023.10.08 |
---|---|
디자인 패턴 - introduction (1) | 2023.10.08 |
VS code에서 carbon처럼 코드를 예쁘게 캡처할 수 있는 extension (0) | 2023.09.09 |
react-router-dom의 <Link>로 이미 가지고 있는 데이터 넘겨주기 (0) | 2023.08.22 |
서버에 보낼 request body에 내장자료구조 Map을 사용하면 어떻게 될까? (0) | 2023.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