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 정보 등 큰 숫자를 표시할 때 세 자리마다 쉼표를 넣어서 표기해주는 편이 단위를 파악하기 쉽다. 이때 쓸 수 있는 간단한 내장 메소드가 있는데 바로 toLocaleString()이다.
날짜 데이터에만 쓰는 줄 알았는데, 숫자에도 적용 가능하다. 단 숫자에 바로 적용하면 syntax error가 뜨기 때문에 숫자를 변수에 담아서 사용해야 한다.
This file contains bidirectional Unicode text that may be interpreted or compiled differently than what appears below. To review, open the file in an editor that reveals hidden Unicode characters.
Learn more about bidirectional Unicode characters
// 틀린 예시: SyntaxError | |
100000.toLocaleString() | |
// 옳은 예시: | |
const num = 100000; | |
num.toLocaleString() // '100,000' |
메소드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쉼표가 찍힌 string을 반환한다.
쇼핑몰 상품 카드 등에서 가격을 표시하는 컴포넌트를 만들 때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다.
This file contains bidirectional Unicode text that may be interpreted or compiled differently than what appears below. To review, open the file in an editor that reveals hidden Unicode characters.
Learn more about bidirectional Unicode characters
function Item({ item, handleClick }) { | |
return ( | |
<li key={item.id} className="item"> | |
<img className="item-img" src={item.img} alt={item.name}></img> | |
<span className="item-name" data-testid={item.name}> | |
{item.name} | |
</span> | |
<span className="item-price">{item.price.toLocaleString()}</span> | |
<button className="item-button" onClick={(e) => handleClick(e, item.id)}> | |
장바구니 담기 | |
</button> | |
</li> | |
); | |
} |
'배워서 남 주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custom 환경 변수 사용하는 방법 (.env 파일 사용) (0) | 2023.01.09 |
---|---|
[JavaScript] 내장 자료구조: Map과 Set (0) | 2023.01.08 |
CLI로 github pages를 사용해 웹사이트 배포하는 방법 (0) | 2023.01.03 |
styled-components의 장점 (0) | 2023.01.01 |
[알고리즘] 2 x n 보드 타일링과 피보나치 수열 (0) | 2022.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