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멩이 하나 53

[셀프 크리틱] 웹 계산기 기능 구현

계산기 기능 구현과 코플릿(알고리즘 문제) 풀이시 레퍼런스 코드랑 (누더기 같은) 내 코드를 비교해 보며 몇 가지 공통적으로 보이는 부분이 있어서 마치 오답 노트처럼 적어보는 셀프 크리틱. 1. 쉬운 길 놔두고 괜히 빙 둘러 돌아가지 말자. input으로 string이 들어오면 해당 string을 바로 순회하면서 갈 수 있는 길을 놔두고 string.split("")으로 배열을 만들어서 그 배열로 순회를 하는 그런 거, 이제 하지 말자. 물론 꼭 배열 메소드를 써야 하는 경우라면 그럴 수도 있겠지만. 2. 조건식은 true 값이 나오는 표현식이 들어가는 자리다. 너무 기본적이고 당연한 얘기지만 한 번 더 명심할 필요가 있겠다. 특히 변수가 falsy한 값(false, undefined, null, 0, ..

제로베이스의 수료 후기는 왜 이렇게 찾기 어려울까?

이번 포스팅은 지난 한 달 반 정도 수강했던 제로베이스 프론트엔드 스쿨에 대한 개인적인 인상에 대한 이야기가 될 예정이지만, 이 포스팅이 어떻게 끝날지는 나도 모른다..ㅋㅋㅋ 크게 상관은 없지만 이 포스팅은 제로베이스에 들어가기 전까지 제가 보낸 2개월 여의 시간에 관한 이야기(a.k.a. 코드스테이츠 광탈 이야기)에서 이어지는 내용으로 궁금하신 분은 이전 포스팅을 보고 오시면 좋습니다. 당시 제로베이스를 선택한 이유: 선발 과정이 없는 가장 빨리 시작할 수 있는 코스였다. 제로베이스의 장점이라고 다가왔던 부분: - 온라인 강의 커리큘럼이 비교적 상세함 - 모회사가 패스트 캠퍼스인 만큼 온라인 강의 퀄리티가 괜찮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 제로베이스의 프론트엔드 스쿨의 특징: - 선불제, 정액후불제, 소득공유..

돌멩이 하나 2022.10.22

좋은 개발자란 무엇인가

개발자(프로그래머)에게 요구되는 능력은 여러 가지겠지만 한 줄로 정의한다면 '문제를 정의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겠다. 모든 개발자가 자사 서비스만 만드는 것은 아니기에 고객의 문제를 해결해야 할 때도 고객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해야 할테니 근본적인 정의는 같을 것이다. 문제를 해결하려면 문제를 잘 정의해야 하고, 문제를 잘 정의하기 위해서는 질문을 잘 해야 한다. 그래서 요즘은 '좋은 질문'을 하는 것에 대해 자주 생각하고 있다. 질문을 잘 하려면 내가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지부터 알아야 한다. 그리하여 오늘은 지난 두 달 간 걸어온 나의 여정을 짧게 정리해보려고 한다. 내가 무엇을 알아야 하는지, 지금 무엇을 모르고 있는지도 몰랐던 8월 초가 오늘 이야기의..

돌멩이 하나 2022.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