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64

제로베이스의 수료 후기는 왜 이렇게 찾기 어려울까?

이번 포스팅은 지난 한 달 반 정도 수강했던 제로베이스 프론트엔드 스쿨에 대한 개인적인 인상에 대한 이야기가 될 예정이지만, 이 포스팅이 어떻게 끝날지는 나도 모른다..ㅋㅋㅋ 크게 상관은 없지만 이 포스팅은 제로베이스에 들어가기 전까지 제가 보낸 2개월 여의 시간에 관한 이야기(a.k.a. 코드스테이츠 광탈 이야기)에서 이어지는 내용으로 궁금하신 분은 이전 포스팅을 보고 오시면 좋습니다. 당시 제로베이스를 선택한 이유: 선발 과정이 없는 가장 빨리 시작할 수 있는 코스였다. 제로베이스의 장점이라고 다가왔던 부분: - 온라인 강의 커리큘럼이 비교적 상세함 - 모회사가 패스트 캠퍼스인 만큼 온라인 강의 퀄리티가 괜찮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 제로베이스의 프론트엔드 스쿨의 특징: - 선불제, 정액후불제, 소득공유..

돌멩이 하나 2022.10.22

좋은 개발자란 무엇인가

개발자(프로그래머)에게 요구되는 능력은 여러 가지겠지만 한 줄로 정의한다면 '문제를 정의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겠다. 모든 개발자가 자사 서비스만 만드는 것은 아니기에 고객의 문제를 해결해야 할 때도 고객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해야 할테니 근본적인 정의는 같을 것이다. 문제를 해결하려면 문제를 잘 정의해야 하고, 문제를 잘 정의하기 위해서는 질문을 잘 해야 한다. 그래서 요즘은 '좋은 질문'을 하는 것에 대해 자주 생각하고 있다. 질문을 잘 하려면 내가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지부터 알아야 한다. 그리하여 오늘은 지난 두 달 간 걸어온 나의 여정을 짧게 정리해보려고 한다. 내가 무엇을 알아야 하는지, 지금 무엇을 모르고 있는지도 몰랐던 8월 초가 오늘 이야기의..

돌멩이 하나 2022.10.20

배열의 오름차순 정렬과 버스정류장 도착정보표시

코드를 짜다보면 배열 안의 요소를 오름차순, 내림차순 정렬을 해야 할 일이 종종 생긴다. 정렬의 동작은 아주 간단하다. sort() 메소드를 써주면 된다. const arr = [2, 5, 7, 1, 4, 6, 3, 8, 9]; arr.sort(); console.log(arr); // [ 1, 2, 3, 4, 5, 6, 7, 8, 9 ] 하지만 의외로 복병이 숨어 있다. 바로 아래와 같은 경우다. const array = [13, 7, 49, 2, 5, 91, 8, 63, 15, 1, 24]; array.sort(); console.log(array); // [ 1, 13, 15, 2, 24, 49, 5, 63, 7, 8, 91 ] 우리의 상식으로는 [1, 2, 5, 7, 8, 13, 15, 24, 4..

JavaScript의 치명적 버그

자바스크립트에서 자료형은 크게 원시형(Primitive data type)과 참조형(Reference data type) 두 가지로 나뉜다. 원시형에는 우리가 잘 아는 문자열(string)과 숫자(number), 참(true)과 거짓(false) 두 가지 판별값을 가지는 불리언(boolean)이 있고, 이 세 가지 자료형 외에도 undefined와 null이 있다. 그리고 참조형에는 그 유명한 객체(object)가 있다. 그리고 개별 데이터가 어떤 자료형에 속하는지를 typeof 연산자를 통해 쉽게 알아볼 수 있다. 바로 아래와 같이. console.log(typeof "calender"); // string console.log(typeof 2022); // number console.log(typ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