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 변경 함수(setState)를 써서 상태 갱신을 할 때 데이터 확인을 위해 아래 예시 코드의 6번 라인과 같이 console.log(state)를 해보면 다음과 같이 실제 입력값보다 한 개씩 밀려서 출력이 되는 걸 알 수 있다. const [username, setUsername] = useState(""); const handleChangeUser = (event) => { setUsername(event.target.value); console.log(username); }; return ( // ... // ... ) 이는 setState 함수가 이벤트 핸들러 내에서 비동기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이게 무슨 뜻일까? 위의 문장을 이해하려면 React가 상태 업데이트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