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 선언식이나 표현식에 비해 간결한 문법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콜백 함수가 들어갈 argument 자리에 화살표 함수를 쓰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map(), reduce() 등 배열 내장 메소드와 함께 자주 쓰게 된다. const arr = [1, 4, 9, 16] const newArr = arr.map(x => x * 2) console.log(newArr) // [2, 8, 18, 32] 위의 예제에서 두 번째 줄 .map() 부분을 좀 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중괄호를 제거하고 return 키워드를 빼고 간편하게 적을 수 있다. const newArr = arr.map(x => x * 2) // 아래는 위의 코드와 동일한 코드이다. const newArr = arr.map(x =>..